쿠웨이트 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2. 요리
쿠웨이트 요리는 쌀을 주재료로 하고,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인도 아대륙의 영향을 받은 비르야니를 비롯하여, 하리스, 마크부스 등 다양한 쌀 요리가 발달했다.
- '''마야와'''(مهياوةar) - 멸치를 발효시켜 만든 어장으로, 톡 쏘는 맛이 특징이다.
- '''잘레비아'''(زلابيةar) - 설탕, 레몬, 사프란으로 만든 시럽에 담근 튀긴 반죽으로, 독특한 소용돌이 모양을 하고 있다.
- '''하비스''' - 밀가루와 기름으로 만든 달콤한 요리이다.
- '''캅사''' -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유래된 쌀 요리이다.
- '''마끌루바''' - 고기, 채소, 쌀을 층층이 쌓아 만든 요리이다.
- '''꾸지''' - 쌀, 고기, 달걀 등을 채워 구운 양고기 요리이다.
2. 1. 주식 및 주요리
- '''비르야니'''(بريانيar) - 닭고기나 양고기와 함께 조리된 향신료가 많이 사용된 쌀로 구성된 매우 흔한 요리이다. 원래 인도 아대륙에서 유래되었다.[4] 쿠웨이트에서는 일반적인 요리이며, 현대 비리야니에는 인도의 무굴 제국에서 전래된 요리의 영향이 보인다.[8]
- '''가부트'''(قبوطar) - 걸쭉한 고기 스튜에 속을 채운 밀가루 만두를 넣거나, 건포도와 말린 라임의 달콤하고 신맛 필링을 채운 덤플링을 넣어 끓인 요리이다.
- '''하리스'''(هريسar) - 고기와 함께 조리하여 으깬 밀이며, 보통 계피 설탕을 얹어 먹는다. 고기와 밀을 죽 상태로 끓인 음식으로, 터키의 케슈케크와 비슷하다.
- '''지레쉬(이레쉬)'''(جريشar) - 조리된 스펠트 밀을 닭고기나 양고기, 토마토, 약간의 향신료와 함께 으깬 음식이다. 또는 닭고기나 양고기, 토마토, 향신료 등을 끓여 그 육수로 빻은 밀(야리쉬)을 지은 요리로, 재료와 야리쉬를 번갈아 겹쳐 담아낸다.
- '''마크부스'''(مجبوسar) - 양고기, 닭고기, 또는 생선을 향긋한 닭고기/양고기 육수로 조리한 쌀과 함께 제공하는 요리이다.[8]
- '''마슈쿨'''(مشخولar) - 흰쌀밥이며, 냄비 바닥에는 강황과 검은 후추를 넣은 양파 링이 있다. 때로는 감자와 가지를 냄비 바닥에 넣기도 한다.
- '''마슈위 제더'''(مشوي جدرar) - 흰쌀밥에 쇠고기나 닭고기, 양파, 감자, 향신료를 냄비 바닥에 넣고 접시에 뒤집어 담은 음식이다.
- '''마이뎀'''(ميدمar) - 흰쌀밥 위에 향신료를 섞은 다진 생선을 올린 음식이다.
- '''마라비안'''(مربينar) - 신선하거나 말린 새우를 넣어 조리한 쌀이다.
- '''마클루바'''(مقلوبةar) - 고기, 감자, 가지를 넣고 조리한 쌀이다. 또는 고기나 볶은 채소, 쌀을 층층이 쌓아 냄비에 넣고, 큰 접시에 뒤집어 제공하는 요리이다.
- '''마르고그'''(مرقوقar) - 얇게 편 반죽 조각과 함께 조리한 채소 스튜로, 보통 호박과 가지가 들어간다.
- '''무맘와쉬'''(مموشar) - 녹두와 함께 지은 쌀 요리로, 말린 새우를 위에 얹어 제공한다.
- '''무아다스'''(معدسar) - 붉은 렌즈콩을 넣고 조리한 쌀이며, 말린 새우를 얹어 먹을 수 있다.
- '''무타바크 사마크'''(مطبق سمكar) - 생선을 쌀밥 위에 얹어 제공한다. 쌀은 향신료를 잘 넣은 생선 육수로 조리한다. 또는 생선(주베이디 등)을 삶아 향미 채소와 향신료를 볶은 것을 배에 채워 기름에 튀기고, 생선 삶은 물과 향신료로 지은 쌀을 얹고, 강황, 건조 라임 가루와 볶은 양파를 위에 얹어 제공한다.
- '''쿠지'''(قوزيar) - 쌀, 고기, 달걀, 기타 재료를 채워 구운 양고기이다.
- '''카밥 디야이'''(كباب ديايar)는 닭 다진 고기에 빵가루를 묻혀 튀긴 고로케 스타일 요리이다.
- '''카밥 라함'''(كباب لحمar)은 어린 양의 다진 고기를 꼬치에 꽂아 구운 케밥이다.
- '''바타타 찹'''(بطاطا تشابar)은 매시드 포테이토에 다진 고기를 채우고 빵가루를 묻혀 튀긴 감자 크로켓 스타일 요리이다.
- '''바라리트'''(بلاليطar)는 사프란을 사용한 달콤한 면 요리로, 위에 얇게 부친 달걀을 얹어 제공한다. 주요리 또는 디저트로 먹을 수 있다.
- '''필가아'''(فرقاعةar)는 쌀을 토마토, 감자, 가지와 함께 끓인 요리이다.
- '''마히야와''' (مهياوةar)는 멸치, 회향, 커민, 고수, 겨자씨로 만든 매운 어장이다.
2. 2. 국 및 소스
- 다꾸스(دقوس|다꾸스ar) – 밥과 함께 제공되는 토마토 소스의 일종이다.
- 마보즈(معبوج|마보즈ar) – 다른 재료와 혼합된 붉은색 또는 녹색 고추로 만든 매운 소스이다.
- 마하와(مهياوة|마하와ar) – 톡 쏘는 어장이다.
- 마라그( مرق |마라그ar) – 토마토 페이스트와 다양한 채소 및 향신료를 넣은 국물의 일종이다.
- 렌즈콩 수프
2. 3. 후식
- 아시다 (عصيدة|아시다ar) – 밀가루를 익혀서 만든 요리로, 버터나 꿀을 첨가한다.
- 발라리트 (بلاليط|발라리트ar) – 달콤한 사프란 국수에 짭짤한 오믈렛을 얹어 제공한다.
- 바이트 엘기타 (بيض القطا|바이트 엘기타ar) – 튀긴 쿠키로, 다진 견과류 혼합물로 채우고, 가루 설탕을 뿌린다. 이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막 메추라기 알과 모양이 비슷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 다라빌 (درابيل|다라빌ar) – 밀가루, 달걀, 우유, 설탕으로 만들어 매우 얇게 말린 층으로 형성된다. 때로는 설탕, 카다멈 또는 계피를 첨가하기도 한다.
- 루가이마트 (لقيمات|루가이마트ar) – 설탕 시럽(설탕, 사프란)을 얹은 튀긴 효모 덤플링.
- 게르스 오가일리 (قرص عقيلي|게르스 오가일리ar) – 달걀, 밀가루, 설탕, 카다멈, 사프란으로 만든 전통 케이크. 전통적으로 차와 함께 제공된다.

- 잘라비아 (زلابية|잘라비아ar) – 시럽(설탕, 레몬, 사프란)에 담근 튀긴 반죽으로 독특한 소용돌이 모양을 가지고 있다.
- 그라이바 – 밀가루, 버터, 가루 설탕, 카다멈으로 만든 섬세한 쿠키. 일반적으로 아랍 커피와 함께 제공된다.
- 카비사 – 밀가루와 기름으로 만든 달콤한 요리.
- 사브 알카프샤 (쿠웨이트 아랍어: صب القفشة) – 루가이마트와 유사하지만 사프란과 카다멈 시럽을 추가했다.
- 엘바 (ألبة|엘바ar) – 사프란과 카다멈을 넣은 쿠웨이트 우유 푸딩.
- 마구타 (쿠웨이트 아랍어: ماغوطة) - 사프란으로 만든 전분 대신 사고를 넣어 코코넛 껍질 가루를 함유한 푸딩의 일종이다.
3. 음료
- 라반(لبن|라반ar) (버터밀크)[7]
- 샤르바트 바이란
- 이스티카나라고 불리는 섬세한 컵에 담아 제공되는 홍차
- 아랍 커피
- 쿠웨이트 차
- 말린 라임 차
- 카라크 차
- 다양한 종류의 아랍 차
- Leben|레벤|영어 (لبن|라반ar)은 요구르트 음료로, 식사 시에 제공된다.[9]
- 가흐와 (قهوة|가흐와ar)는 카다멈, 정향, 사프란, 로즈 워터 등의 향신료를 첨가하여 내린 얕게 볶은 커피이다. 작은 컵에 제공한다.
- 차이 (شاي|차이ar)는 홍차나 허브차이다. 차외차에는 건조 라임 차이 루미 (شاي لومي|차이 루미ar), 민트 차이 나아나 (شاي نعناع|차이 나아나ar), 사프란 차이 자파란 (شاي زعفران|차이 자파란ar)이 있다.
참조
[1]
서적
Arabian Delights: Recipes & Princely Entertaining Ideas from the Arabian Peninsula
https://books.google[...]
Capital Books
2008
[2]
서적
Kuwait
https://books.google[...]
Cavendish Square Publishing, LLC
2018
[3]
웹사이트
Consumption of fish and shellfish and the regional markets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4-10-08
[4]
문서
Riolo, 2007, p.23 - 24
[5]
웹사이트
أشهرها «التشريب» و«الماغوطة» و«الهريس»، الكويتيون حافظوا على عادات الاجداد الغذائية الخاصة بشهر رمضان
https://www.albayan.[...]
2002-11-15
[6]
웹사이트
عادات كويتية متأصلة في شهر رمضان المبارك
https://www.kuna.net[...]
[7]
문서
DiPiazza (2006) p.57
[8]
문서
Riolo, 2007, p.23 - 24
[9]
문서
DiPiazza (2006) p.5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